이대섭 기자
IMF 금융위기 재현” 李 “美 요구 방식대로 3500억달러 투자땐
이재명 대통령은 22일(한국시간) 한국과 미국간 관세 문제를 가능한 한 조속히 해결하려는 목표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보도된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의 3천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에 대한 상업적 타당성 보장 문제로 양국간 이견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한미간) 통화 스와프 없이 미국이 요구하는 방식으로 3천500억달러를 인출해 전액 현금으로 투자한다면 한국은 1997년 금융위기와 같은 상황에 직면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대통령은 미국이 이에 동의할 가능성이나 이것만으로 협정이 추진될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합의를 파기할 의사가 있는지 묻자 “혈맹 관계인 두 나라 사이에서는 최소한의 합리성은 유지될 것이라 믿는다”고 답했다.
협상이 내년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이 불안정한 상황은 가능한 한 빨리 끝내야 한다”고 답했다.
이어 “조지아주 구금 사태에 대해 한국 국민이 분노했지만, 이번 단속이 한미 동맹을 훼손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근로자 체류 허용을 제안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어 “이것이 의도적인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미국은 이번 사건에 대해 사과했으며, 이에 대한 합리적 대책을 마련하기로 합의했고 현재 이를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또 이번 미국 뉴욕 방문을 통해 유엔 총회 연설과 안전보장이사회 토의 주재를 통해 “민주주의 국가 한국이 돌아왔다”는 메시지를 세계에 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일본·미국이 협력을 심화할수록 중국·러시아·북한은 더욱 긴밀히 협력하는 경쟁·긴장 고조의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고도 했다. 이 대통령은 “이는 한국에 매우 위험한 상황이며, 우리는 고조되는 군사적 긴장에서 빠져나올 출구를 찾아야 한다”며 “평화적 공존의 길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