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영남 기자
인천시,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맞춰
대미 수출기업 지원 확대 나서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지난 7월 31일 타결된 ‘한미 관세 협상’에 대응해 인천지역 대미 수출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지원책을 본격 가동한다고 3일 밝혔다.
앞서 인천시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예고에 따라 지난 4월부터 인천테크노파크, 인천상공회의소 등 유관기관과 함께 ‘미국 통상정책 비상대응 TF’를 구성해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왔다.
TF는 통상 현안 모니터링과 수출기업 애로사항 접수, 민·관 소통 등 현장 중심의 대응체계를 구축해왔다.
유정복 시장은 “이번 협상으로 25% 상호관세는 피했지만, 한미 FTA의 무관세 혜택이 사실상 종료되면서 대미 수출기업의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맞춤형 정책 지원으로 기업의 위기 극복을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이에 더해 지난 5월부터 6월 시중은행과 협력해 인천형 특별 경영안정자금 3,100억 원을 공급하며 중소기업의 자금난 해소를 지원했고,
지난달 14일부터는 미국 관세 여파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을 대상으로 1,500억 원 규모의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원을 개시했다. 해당 자금은 기업당 최대 5억 원까지, 1년 만기일시상환 조건으로 은행 대출 이자차액 2.0%를 보전해주는 방식이다.
8월 1일 기준으로 47개 기업에 총 232억 원이 집행됐다. 시는 수요 증가에 대비해 최대 500억 원의 자금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인천시는 이와 함께 해외시장 개척 및 수출 다변화 전략도 본격화한다. 8월 중 프랑스, 호주 등 10개국 해외 바이어를 초청해 100개 지역 기업과 수출상담회를 열 계획이다.
특히, 뷰티·식품 등 주요 수출업종 기업을 대상으로 베트남, 인도 등 신흥시장에서의 수출 상담과 해외 전시회 참가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아울러 수출위험도가 높아진 기업을 위해 수출신용보증, 수출보험 등 금융 지원 확대도 검토하고 있다.
인천시는 향후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를 중심으로 관세협상 타결의 지역경제 영향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실효성 있는 정책 수립에 나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