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섭 기자
친명(친이재명)계 중진인 김영진 "조희대 청문회 추미애 급발진 확인안된 사실 갖고는 부적절"
친명(친이재명)계 중진인 더불어민주당 김영진 의원은 25일 조희대 대법원장에 대한 청문회를 결정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겨냥해 "절제되고 조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 출연해 "마치 법사위가 모든 정치를 대변하는 것처럼 비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조 대법원장 청문회에 대해 "약간 급발진하지 않았나"라며 "조금 더 당내 전체, 지도부와 상의하고 사전에 준비 절차를 잘 거쳐서 그 필요성에 대한 상호 동의하에 진행했으면 좋았겠다는 게 개인적 생각"이라고 말했다.
조 대법원장과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회동 의혹에 대해서도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가지고 청문회를 여는 것 자체는 적절하지 않다"며 "그 문제에 관해서 (의혹을 제기한) 서영교 의원이나, 부승찬 의원이나, 추미애 법사위원장이 조금 더 소명을 해주는 게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조 대법원장과 사법부가 이재명 대선후보에 대한 유죄 취지 파기환송 과정에서 국민들이 제기한 의혹에 입장을 밝힐 필요는 있다"며 "그런 본질적인 문제에 관한 사안들을 다루는 게 조 대법원장에 대한 정확한 대응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국회 법사위원장인 추미애 의원과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의 이른바 '추나 대전'에 대해서는 "1차 추미애-윤석열 대전, 2차 추미애-한동훈 대전에 이은 3차 대전인데, 그동안 전쟁의 결과가 적절하거나 좋았던 게 기억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그는 '추 의원을 중심으로 한 갈등이 지방선거에 도움이 되느냐'는 질문에는 "국민들이 판단하겠지만, 집권 여당의 입장에서는 썩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답했다.
국회 법사위가 나 의원 간사 선임안을 여당 주도로 부결한 데 대해서도 "간사 선임 문제를 가지고 전쟁을 치를 필요는 없다"며 "특별하게 인정해주지 않을 이유가 없는데 본질 외적인 문제로 법사위 운영이 파행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김현지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이 국정감사에 출석하지 않는 데 대해서는 "상식적으로 판단했으면 좋겠다"며 "총무비서관이든 법무비서관이든 정무비서관이든 국민의 대표인 국회에 나와서 공직자로서 자기 입장을 표명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국감 증인 채택 때 총무비서관이 논란이 된 적은 단 한 번도 없고, 당연직으로 국감 대상이기 때문에 그냥 채택하면 된다"며 "국감 증인으로 채택해 나오는 것이 국민에 대한 도리이고, 국민주권 정부가 지켜야 할 원칙"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