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섭 기자
국민의힘 혁신위 단일지도체제 유지·
최고위 폐지 "당대표 리더십 강화"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차기지도체제를 현행 '단일지도체제'로 유지하되, 현재 최고위원회의를 폐지하고 당 주요 당직자와 원외당협위원장 등으로 구성된 '중앙당무회의'를 이를 대체할 기구로 신설키로 했다.
호준석 혁신위원은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혁신위 2차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은 내용의 회의 결정사항을 발표했다.
그는 "봉숭아학당은 이제 없다. 민심 학당이 될 것"이라며 "날만 새면 비대위 체제였는데 이제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
최근 당이 당대표와 최고위원의 갈등으로 지속적으로 혼란을 겪은 만큼, 당대표가 확고한 리더십을 갖고 당을 이끌 수 있도록 하겠다는 구상이다.
중앙당무회의는 △당대표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사무총장 △수석대변인 △청년위원장 △여성위원장 △당대표가 지명하는 원외당협위원장 2인 등 총 9인으로 구성된다.
원내대표를 제외한 8인 모두 당대표가 임명권을 가지는 만큼 당대표의 힘이 한층 더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중앙당무회의는 현재 최고위원회의와 같이 매주 2번 회의를 열어 당무를 결정한다.
혁신위는 현재 상임전국위원회의 기능을 할 전국민심회의도 신설한다는 방침이다.
17개 시도당 당대표를 당원투표로 선출해 일주일에 한 번씩 모여 회의를 하고, 그 결과를 당대표에게 전달하면 당대표가 당 운영에 이를 반영해 당대표 견제도 가능케 한다는 것이다.
전국민심회의는 당규 제·개정과 전당대회·중앙당무회의 소집 요구 등 막강한 권한을 갖는다는 게 혁신위의 설명이다.
호 위원은 "전국의 민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당의 논의구조를 만들겠다는 것"이라고 취지를 밝혔다.
비례대표 후보 공천권을 각 시도당으로 이관 하는 내용도 혁신안에 담겼다. 또 당 지지세가 약한 취약지역과 청년에 대해선 비례대표 의석을 일정 부분 할당할 계획이다.
호 위원은 전당원투표와 당헌당규 개정 등 필요한 절차가 완료되면 8월 전당대회부터 이같은 안이 적용된다고 밝혔다. 인적청산 등은 추후 회의를 통해 논의할 것이라고 했다.